
이번 원티드의 디자인 토크는 YuShing Sit의 인간 중심 디자인에 관한 이야기였다. 내부 팀이나 고객이 HCD를 실무적으로 채택하도록 설득할 것인가 비즈니스에 대해 이야기하라 골든 서클 by Simon Sinek : What, How, Why 각각의 프로젝트에는 우리가 달성하고자 하는 목표가 있다. → 우리가 목표에 도달했는지에 대해 알려면, 수치화해서 리스트 없을 한다. → 수치를 충족시키기 위해서 사용자들이 특정 행동을 할 것이라고 가정한다. → 가설을 충족시키기 위해서는 우리는 사용자의 행동을 바꿔야 한다. 행동에 영향을 미치려면 사용자들의 인사이트를 도출해야 한다. 가설 + 날짜 = 인사이트 가치 및 영향 측정 올바른 메트릭스와 데이터를 맵핑하는 것이다. 제품 라이프사이클의 다양한 단계에서 ..

11.30.20 채용 담당자들은 디자이너 채용 시 무엇을 중요하게 여길까? By. 박하영 | 토스 리크루팅 매니저, 정훈섭 | 지그재그 리크루팅 매니저, 이나라 | 강남언니 리크루팅 매니저 Q1. 먼저 각 회사별로 디자이너 채용 프로세스에 대해서 설명을 부탁드립니다. 각 회사의 채용 프로세스는 비슷했다. 1차로 이력서와 포트폴리오를 확인하고 2차에서 실무 면접 그리고 경영진 면접이 있다고 했다. 강남언니 같은 경우는 면접을 진행하기 전에 후보자들과 캐주얼 인터뷰를 진행하면서, 회사에 궁금한 점들에 대해서 편하게 이야기할 수 있는 시간을 갖는다고 했으며, 1차 실무진 인터뷰를 하고 스쿼드 단위의 인터뷰를 거쳐 3차 최종 면접을 진행한다고 했다. Q. 디자인팀과 HR 팀과의 커뮤니케이션은? 이나라 : JD ..

팀원들 중에서는 크게 공감자와 체계자로 나눌 수 있다. 다양한 사람들에 대해서 이해하고 어떻게 접근할지에 대해서 생각해 보는 것이 좋다. 공감자 체계자 다른 사람의 감정과 생각을 알려고 한다 사람들이 어떻게 느끼는지 직관적으로 파악한다 디테일함에 대해 느긋하다 언어를 빠르게 개발한다 사교성이 있고 대화를 잘한다 분석하고 탐색하고 시스템을 구조화하려고 한다 작업 방식에 대한 기본 규칙을 직관적으로 파악한다 채팅하는 것에 덜 관심 있어한다 덜 사교성이 있다 팀원들이 어떠한 성향을 갖고 있는지에 대해서 파악했다면, 그다음은 어떠한 것을 일을 할 팀인지 정의하고, 무엇을 할 사람들을 찾을 것인지에 대해서 생각해야 한다. 그 다음 미리 앞에서 이끌고 데이터 기반의 증거를 가지고 가치를 제공해야 한다. 또한, 어떻..

동남아 시장의 평균 소비자층은 30.2세로 젊은 층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디지털 세대이다. 이번 디자인 토크에서는 Victor Ong이 동남아시아의 디지털 시장의 특징과 디자인을 할 때 고려해야 할 사항에 대해서 이야기했다. 동남아를 위한 디자인을 할 때 고려해야할 8가지 사항 다국어를 위한 계획을 하라 아무도 자신의 지역에서 언어 혹은 문화적 장벽을 갖고 싶지 않다. 주된 시장을 위한 계획을 먼저 세우고 유니버설 디자인을 채택하는 것이 좋다. 지역 특화된 서비스라면 장소 IP기반으로 언어 및 디자인을 제공하는 것이 좋다. 모바일 유일 시장에서는 모바일 경험을 타겟으로 하라 동남아시아 인터넷 성장으로 모바일 경험의 증가가 일어났다. Mobile-only 관점에 대해서 생각해 볼 필요가 있다. (오직 모바..

디자인적 사고 : 프로토타이핑 프로토타이핑을 통해서 새로운 아이디어를 만들어 내며, 복잡한 인터렉션을 전달할 수 있다. 또한, 디자인 의도를 문서화할 수 있으며 사용자가 어떻게 반응하는지를 배울 수 있다. 사용자 중심 디자인은 크게 4가지의 카테고리로 나누어질 수 있는데, 이는 아래와 같다. 만들어 내다 (Generate) 전달하다 (Convey) 문서화하다 (Documnet) 배우다 (Learn) 디자인 문서가 효과적으로 디자인 의도를 전달하지 못할 때 필요한 것이 프로토타입이다. 또한 디자인 문서가 진화하기에 충분히 유연하지 않거나, 이상적인 장기적 결과에 대한 경로로만 제공된다면 프로토타입이 필요한 부분이다. 프로토타입을 문서화하기 위해서 프로젝트의 목표를 우선 작성한다. 팀원들이 어떻게 문서화하고..

디자인적 사고 : 과정에 대한 이해 1. 비즈니스에서 디자인적 사고가 적합한 위치 디자인적 사고는 비즈니스와 기술 파트너를 결합하는 것이며, 실제 사용자의 니즈를 파악하는 것이다. 이러한 니즈를 위해서 해결책을 만들고 테스트를 하는데 이때, 다양한 관점에서 사람들이 하나의 목적을 가지고 실행할 수 있기에 모든 분야의 팀원이 함께 참여해야 한다. 팀원 전체가 무엇을 만드는지, 왜 만들어야 하는지에 대해서 이해하고 있어야 하며, 고객의 니즈에 맞춰 목표가 분명해야 한다. 디자인적 사고는 팀을 잘 구성하여 린하거나 혹은 애자일 방식으로 개발할 수 있게 한다. 2. 디자인적 사고는 마술이 아니다 디자인적 사고의 사이클은 : 사용자 관찰 → 근본적인 문제 찾기 → 여러 해결책 아이디어 만들기 → 프로토타입으로 검..
- Total
- Today
- Yesterday
- UI
- 협업
- 스타트업살아남기
- 서비스 디자인
- 스타트업
- 디자인
- IT
- Hick's Law
- 세미나
- UX 법칙
- UX/UI
- Fitt's Law
- 스펙트럼콘
- 스타트업에어서와휴먼
- 힉의 법칙
- UX Psychology
- 스타트업일지
- UX디자인
- UI디자인
- 사용자 중심
- 온라인
- 디자인적 사고
- UX
- 심리학
- 디자인씽킹
- UX법칙
- 프로덕트디자이너
- 디자이너
- Miller's Law
- UI/UX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