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팀원들 중에서는 크게 공감자와 체계자로 나눌 수 있다. 다양한 사람들에 대해서 이해하고 어떻게 접근할지에 대해서 생각해 보는 것이 좋다. 공감자 체계자 다른 사람의 감정과 생각을 알려고 한다 사람들이 어떻게 느끼는지 직관적으로 파악한다 디테일함에 대해 느긋하다 언어를 빠르게 개발한다 사교성이 있고 대화를 잘한다 분석하고 탐색하고 시스템을 구조화하려고 한다 작업 방식에 대한 기본 규칙을 직관적으로 파악한다 채팅하는 것에 덜 관심 있어한다 덜 사교성이 있다 팀원들이 어떠한 성향을 갖고 있는지에 대해서 파악했다면, 그다음은 어떠한 것을 일을 할 팀인지 정의하고, 무엇을 할 사람들을 찾을 것인지에 대해서 생각해야 한다. 그 다음 미리 앞에서 이끌고 데이터 기반의 증거를 가지고 가치를 제공해야 한다. 또한, 어떻..

디자인적 사고 : 프로토타이핑 프로토타이핑을 통해서 새로운 아이디어를 만들어 내며, 복잡한 인터렉션을 전달할 수 있다. 또한, 디자인 의도를 문서화할 수 있으며 사용자가 어떻게 반응하는지를 배울 수 있다. 사용자 중심 디자인은 크게 4가지의 카테고리로 나누어질 수 있는데, 이는 아래와 같다. 만들어 내다 (Generate) 전달하다 (Convey) 문서화하다 (Documnet) 배우다 (Learn) 디자인 문서가 효과적으로 디자인 의도를 전달하지 못할 때 필요한 것이 프로토타입이다. 또한 디자인 문서가 진화하기에 충분히 유연하지 않거나, 이상적인 장기적 결과에 대한 경로로만 제공된다면 프로토타입이 필요한 부분이다. 프로토타입을 문서화하기 위해서 프로젝트의 목표를 우선 작성한다. 팀원들이 어떻게 문서화하고..

디자인적 사고 : 과정에 대한 이해 1. 비즈니스에서 디자인적 사고가 적합한 위치 디자인적 사고는 비즈니스와 기술 파트너를 결합하는 것이며, 실제 사용자의 니즈를 파악하는 것이다. 이러한 니즈를 위해서 해결책을 만들고 테스트를 하는데 이때, 다양한 관점에서 사람들이 하나의 목적을 가지고 실행할 수 있기에 모든 분야의 팀원이 함께 참여해야 한다. 팀원 전체가 무엇을 만드는지, 왜 만들어야 하는지에 대해서 이해하고 있어야 하며, 고객의 니즈에 맞춰 목표가 분명해야 한다. 디자인적 사고는 팀을 잘 구성하여 린하거나 혹은 애자일 방식으로 개발할 수 있게 한다. 2. 디자인적 사고는 마술이 아니다 디자인적 사고의 사이클은 : 사용자 관찰 → 근본적인 문제 찾기 → 여러 해결책 아이디어 만들기 → 프로토타입으로 검..

UX 스킬 UX 디자이너로서 가장 중요한 것은 배움의 방법을 익히는 것이다. 누가? 무엇을? 왜? 언제? 어디서? 에 대한 질문의 답을 해가면서 문제를 해결하는 습관을 길러야 한다. 또한, 어떻게 소통하는지에 대해서 배우고 연습하는 것이 중요하다. 한 번의 세션으로 최종적인 디자인 결과물을 나올 것이라고 생각하지 않고 지속적으로 공유하고 피드백을 받으면서 피드백에 대한 두려움을 느끼지 않아야 한다. 디자인 피드백을 받기 위해서는 현재 문맥상의 자신의 위치를 설정하고 문제점이 무엇이고 왜 문제가 되었는지를 정의한다. 그다음 어떠한 피드백을 받고 싶은지를 명확하게 이야기하는 것이다. 예를 들어, "지금 현재, 여러 아이디어를 스케치해봤는데 당신의 관점에 의견을 듣고 싶습니다." 피드백을 받을 때는 개인적으로..

전문적인 그래픽 디자인의 가치 비즈니스 측면에서의 디자이너 : 오늘날의 그래픽 디자인의 범위는 예전에 비해서 넓어지고 있다. 디자인의 매체에 따라서도, 디자인의 목적에 따라서도 그래픽 디자인의 종류가 달라지지만 결국에는 그래픽 디자인이라는 큰 범주 안에 속해있다. 우리가 흔히 알고 있는 나이키, 맥도널드, 코카콜라 등의 유명한 회사들은 누가 봐도 알 수 있는 브랜드의 성격이 있다. 이것은 곧 비즈니스로 직결이 되며, 그래픽 디자이너가 비즈니스에 필요한 이유 중 하나이기도 하다. 브랜드가 명확하게 수립되어 있지 않으면, 사람들에게 잊혀지기 쉽고 비즈니스가 가지고 있는 장점을 제대로 보여줄 수가 없다. 그래픽 디자이너의 역할은 회사 혹은 개인의 메시지를 적절한 청중에게 성공적으로 전달하는 것이다. 이것은 브..

소프트 개발 프레임워크 종류 UX 리서치란 구축된 제품과 상호 작용하는 사람들의 요구에 맞는 제품과 서비스를 만드는 것을 목표로 한다. UX 연구는 우리가 서비스를 제공하는 사람들, 그들이 필요로 하는 것, 그리고 우리가 그들의 목표를 얼마나 잘 달성하고 있는지를 탐구하는 데 사용된다. 애자일 방식을 도입하는 것의 가장 좋은 점 중 하나는 사용자에 대해 배우고 개선할 수 있는 지속적인 기회다. 애자일의 핵심 가치 프로세스 및 도구를 넘은 개인 및 상호 작용 포괄적인 문서를 넘은 업무 소프트웨어 계약 및 협상을 넘어 고객과의 협업 계획을 따라가는 것을 넘어 변화에 반응 스크럼 스토리, To-do, 진행 중, 테스트, 완료 스프린트 사이클 시작에 미팅 데일리 스탠드업 미팅 스프린트 마지막에 리뷰 회고록 이외..
- Total
- Today
- Yesterday
- UX디자인
- UI/UX
- 프로덕트디자이너
- UX법칙
- 디자인씽킹
- Miller's Law
- 디자이너
- UX Psychology
- 서비스 디자인
- 사용자 중심
- 디자인
- UX
- UX 법칙
- 심리학
- 힉의 법칙
- 스타트업일지
- UI
- Fitt's Law
- 스타트업살아남기
- 스펙트럼콘
- UX/UI
- 디자인적 사고
- UI디자인
- IT
- 협업
- 스타트업
- 스타트업에어서와휴먼
- Hick's Law
- 세미나
- 온라인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