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출처 : unsplash.com

 

소프트 개발 프레임워크 종류


UX 리서치란 구축된 제품과 상호 작용하는 사람들의 요구에 맞는 제품과 서비스를 만드는 것을 목표로 한다. UX 연구는 우리가 서비스를 제공하는 사람들, 그들이 필요로 하는 것, 그리고 우리가 그들의 목표를 얼마나 잘 달성하고 있는지를 탐구하는 데 사용된다. 애자일 방식을 도입하는 것의 가장 좋은 점 중 하나는 사용자에 대해 배우고 개선할 수 있는 지속적인 기회다.

 

애자일의 핵심 가치

  • 프로세스 및 도구를 넘은 개인 및 상호 작용
  • 포괄적인 문서를 넘은 업무 소프트웨어
  • 계약 및 협상을 넘어 고객과의 협업
  • 계획을 따라가는 것을 넘어 변화에 반응

 

스크럼

  • 스토리, To-do, 진행 중, 테스트, 완료
  • 스프린트 사이클 시작에 미팅
  • 데일리 스탠드업 미팅
  • 스프린트 마지막에 리뷰
  • 회고록

 

이외의 다른 프레임 워크

  • Khanban
    • 일의 지속적인 흐름
    • 단계별 아이템의 제한
  • Extreme Programming (XP)
    • 피처 중심의 개발
  • Lean
    • 전체적인 비즈니스와 관리의 실행
    • 고객 가치 극대화
    • 낭비를 최소화
    • 위험을 줄이는 데에 집중

 

 

 

구성원 준비


UX는 다양한 스킬 셋을 대표하며, 누구도 자신의 디자인을 스스로 테스트해서는 안된다. 견고하 UX 리서치는 단기적, 혹은 장기적인 니즈 모두를 해결할 수 있다. 

애자일 팀 구성원은 UX 리서처, 백엔드 & 프론트엔드 개발자, UX 디자이너, QA 테스터로 이루어질 수 있다. UX 디자이너에게 모든 일을 맡기는 것은 좋지 않지만, 그럴 수 없는 상황이라면 한 명의 UX 제너럴리스트를 각 팀에 포함시키고, 조사 단계에서 함께 협업하며, 특히 유효성 검사 및 사용성 테스트에 함께 일하는 것이 좋다.

 

리서치 흐름

  • 인터뷰 혹은 민족학에 대한 연구 (사용자를 깊게 알 수 있는 방법)
  • 일반적인 리서치 - 시장조사, 통계 등

 

평가 및 실험 연구

  • 사용성 테스트
  • A/B 테스트
  • 카드 소팅 : 그룹핑 하는 테스트
  • 트리 테스트 : 카드 소팅과는 반대되는 테스트

 

탐색적 연구를 위한 흐름

  • 4번째 스프린트마다 인터뷰, 현장 방문, 그리고 벤치마킹을 진행하는 것이 좋다.
  • 스프린트를 진행하면서 매주 하루의 긴 시간을 잡아서 UX 리서치를 진행하는 것이 좋다. 진행하면서 디자인이나 흐름, 비즈니스 전략 등의 수정 사항이 필요한 경우에 대해서 이야기하고 더 나은 방향을 결정.
  • 기초 조사를 통해 사용자 기반, 사용자 컨텍스트, 변화하는 요구사항 및 사용자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기회를 파악할 수 있다.
  • 혼자 일하지 말고 함께 협업하는 것이 좋다.

 

리서치 참가자들을 확보하는 법

  • 참가자들의 일정 수립
    • 자발적인 참여자로 구성된 패널 구축
    • 자발적인 리서치 세션 계획
  • 잠재 고객 모집
    • 구글 애드워드
    • 페이스북 광고

 

팀 구조에 관계없이 신속한 변화를 위한 팀은 UX 전문가를 부서 간 팀에 포함시키는 것이 좋다. UX 전문가를 팀에 포함시키면 팀 전체가 UX 모범 사례를 떠올릴 수 있으며 연구를 성공적으로 통합할 수 있는 최상의 기회를 제공할 수 있다. 

 

왜 연구원들이 특정한 규칙적인 시간을 연구에 바쳐야 하는가?

  • 개발 중에 발생하는 디자인적인 질문을 해결하고 보다 많은 깊이 있는 리서치 및 기회 포착을 위한 시간을 할당할 수 있다.
  • 정기적으로 리서치를 진행하면 모집, 일정 수립 등 리서치의 물류 계획을 보다 쉽게 수립할 수 있다.

가장 좋은 리서처들의 모집 방법은 현재 작업 중인 작업 단계, 기존 사용자가 많은지 여부, 그리고 해당 사용자를 얼마나 찾기 어려운지에 따라 다르다.

 

 

 

리서치 적응


리서치 방법 정하기

  • 프로덕트의 개발 단계를 고려하고 가장 위험있는 질문이 무엇인지 식별하라
  • 트렌드를 조사하는 것인지 이유를 조사하는 것인지를 결정하라
  • 행동을 조사해야 하는 것인지 태도를 조사해야 하는지 생각하라
  • 가설에 대한 답을 듣기 위해서 구체적인 질문들로 좁혀가라
  • 열린 질문을 조사하는데에 필요한 맥락을 고려하라
  • 당신의 질무누에 적절하게 답을 할 수 있도록, 그리고 당신이 일하는 환경의 맥락에 잘 맞는 조사 방법을 선택하라

 

If we [do, build, provide X thing], then [these people] willl [some desirable outcome]. We'll know when [actionable metrics].

 

  • [do, builld, provide X thing] : 어떤 해결책을 제안하는가
  • [these people] : 실제 타깃 사용자
  • [some desirablle outcome] : 사람들이 무엇을 하길 원하는가
  • [actionable metrics] : 당신의 목표

 

UX 리서치의 시간 소비를 줄이는 법

  • 직접 리서치 세션을 진행하는 것보다 원격으로 진행
  • 전반적인 세션의 수 줄이기
  • 낮은 충실도의 프로토타입 활용
  • 소셜 미디어, 공공장소 등의 색다른 방법으로 참가자 모집

 

지원자를 찾는게 얼마나 어려운 것인지 상관없이, 당신의 질문에 가장 적합한 답을 할 수 있는 방법을 선택해야 한다. 리서치 가설에서 성공의 척도를 설정하는 핵심 목표는 다음에 나아가야 할 방향을 결정하는 데에 표준을 설정할 수 있기 때문이다. 성공의 척도는 다음에 어느 방향으로 가야 할지 결정하는 데에 도움을 줄 수 있다면, 정량적이거나 정성적일 수 있다.

 

 

 

리서치 분석


팀원들이 분석하고 정리한 내용에 대해서 한 곳에 모아 관찰하고, 정리하고 그룹핑 하는 과정을 거쳐야 한다. 분석하는 도중에 의심이 든다면 처음 했던 것보다는 시간을 덜 들여서 포인트만 짚어가면서 다시 들여다보는 것이 좋다.

 

익숙해지기는 어렵겠지만 연구 결과를 검토하고 데이터를 이해할 때 가능한 해결 방안을 모색하는데 성급하게 대처해서는 안된다. 해결 방법 또는 지름길은 종종 혼란이나 사용자에게 더 많은 혹은 다른 옵션을 제공할 수 있는 시그널이 된다. 리서치의 맥락은 디자인 결정에 영향을 미칠 수 있으므로 리서치 자료를 해석할 때 신중하게 검토해야 한다. 

 

 

 

 

 

강의 출처 :

UX Research for Agile Teams

By. Amanda Stockwell @ LinkedIn Learning

www.linkedin.com/learning/ux-research-for-agile-teams/

공지사항
최근에 올라온 글
최근에 달린 댓글
Total
Today
Yesterday
링크
«   2025/05   »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글 보관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