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밀러의 법칙이란? 보통의 사람은 7(±2) 개의 항목만을 기억할 수 있음 핵심 요약 "마법의 숫자 7"을 내세워 불필요한 디자인 제한을 정당화하지 않기 사용자들이 쉽게 처리하고 이해하며 기억할 수 있도록 콘텐츠를 작은 덩어리로 나눠 정리 기존 지식과 상황의 맥락에 따라 단기 기억 용량은 개인에 따라 다르다는 것을 기억 밀러의 법칙 배경 1956년, 인지심리학자 조지 밀러(George Miller)에 의해 발표됨. 단기 기억의 범위는 대략 7 정도로 제한되며, 기억 범위에 더 큰 영향을 미치는 것은 정보의 기본 단위인 비트(bit)의 양이 아닌 정보 덩어리(chunk)의 개수. 덩어리화 인간의 단기 기억은 한계가 있고 정보를 덩어리로 만들면 정보를 더욱 효과적으로 암기할 수 있음. 콘텐츠를 적절히 덩어리로..
UIUX Design/UIUX Design Book
2022. 8. 24. 09:00
공지사항
최근에 올라온 글
최근에 달린 댓글
- Total
- Today
- Yesterday
링크
TAG
- Hick's Law
- UI디자인
- 서비스 디자인
- UX/UI
- IT
- 심리학
- 스타트업일지
- 온라인
- Miller's Law
- 세미나
- UX
- 디자이너
- 힉의 법칙
- 스펙트럼콘
- 프로덕트디자이너
- UI
- 협업
- UI/UX
- 사용자 중심
- 스타트업
- UX디자인
- Fitt's Law
- 디자인
- 디자인적 사고
- 스타트업에어서와휴먼
- UX 법칙
- 디자인씽킹
- UX Psychology
- UX법칙
- 스타트업살아남기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글 보관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