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밀러의 법칙이란? 보통의 사람은 7(±2) 개의 항목만을 기억할 수 있음 핵심 요약 "마법의 숫자 7"을 내세워 불필요한 디자인 제한을 정당화하지 않기 사용자들이 쉽게 처리하고 이해하며 기억할 수 있도록 콘텐츠를 작은 덩어리로 나눠 정리 기존 지식과 상황의 맥락에 따라 단기 기억 용량은 개인에 따라 다르다는 것을 기억 밀러의 법칙 배경 1956년, 인지심리학자 조지 밀러(George Miller)에 의해 발표됨. 단기 기억의 범위는 대략 7 정도로 제한되며, 기억 범위에 더 큰 영향을 미치는 것은 정보의 기본 단위인 비트(bit)의 양이 아닌 정보 덩어리(chunk)의 개수. 덩어리화 인간의 단기 기억은 한계가 있고 정보를 덩어리로 만들면 정보를 더욱 효과적으로 암기할 수 있음. 콘텐츠를 적절히 덩어리로..

힉의 법칙이란? 의사결정에 걸리는 시간이 선택지의 개수와 복잡성에 비례해서 늘어남 핵심요약 의사결정 시간이 반응 시간에 큰 영향을 받을 경우 선택지를 최소화 인지 부하를 줄이기 위해서는 복잡한 작업을 작은 단계로 나눔 추천 선택지를 강조해서 사용자들의 부담 최소화 신규 사용자들의 인지 부하를 최소화하기 위해 온보딩(onboarding) 진행 추상적으로 느껴질 정도로 단순화하지 않도록 주의 힉의 법칙의 배경 1952년, 심리학자 윌리엄 에드먼드 힉(William Edmund Hick)과 레이 하이먼(Ray Hyman)이 자극의 개수와 자극에 대한 반응 사이의 상관관계에 관해 진행한 실험에 의해 만들어짐. 인지 부하 제품이나 서비스를 처음 접한 사용자가 인터페이스를 익히고 인터랙션 하는 데 필요한 정신적 자..
- Total
- Today
- Yesterday
- 심리학
- 스타트업에어서와휴먼
- 디자인
- 디자이너
- IT
- 온라인
- UI디자인
- UX/UI
- Miller's Law
- UX디자인
- 스타트업일지
- 세미나
- 프로덕트디자이너
- UX Psychology
- 힉의 법칙
- UX 법칙
- 디자인적 사고
- 스타트업
- 스펙트럼콘
- UI
- 디자인씽킹
- UI/UX
- 서비스 디자인
- 사용자 중심
- Fitt's Law
- Hick's Law
- UX
- UX법칙
- 협업
- 스타트업살아남기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