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1. 앱 구조와 사용성
1) 모바일 정보구조 설계
- Handholds : 손으로 잡을 수 있는 범위 파악
- 모바일 핸드폰 사용성에 대한 이해 필요
2) 모바일 IA 비교
- 공통 요소 : 상태바, 해더바
Android | iOS | |
Bar | 툴 바 (Tool Bar) ‣ 섹션 제목 ‣ 왼쪽의 업 버튼 ‣ 네비게이션 드로워 ‣ 메뉴 버튼 및 3닷 더보기 버튼 |
네비게이션 바 (Navigation Bar) ‣ 섹션 제목 ‣ 뒤로가기 버튼 ‣ 콘텐츠 컨트롤 요소 ‣ 사용자들이 이동할 수 있도록 |
Text | 왼쪽 정렬 | 가운데 정렬 |
Primary Navigation | 드로워 | 하단의 탭바 |
Gesture - 경험을 빠르고 유연하고 즐겁게 해주는 것 |
탭 간의 이동 | 뒤로가기 |
레이아웃 (Android : Struture / iOS : Layout) |
툴바, 드로워, 플로팅 액션 버튼, 콘텐츠 구역, 검정색 네비게이션 바, 하단의 툴바 | 타이틀 바, 네비게이션, 콘텐츠 구역 |
2. 앱 컴포넌트와 인터렉션
Android | iOS | |
애니메이션 | ‣ 반응형, 자연스러움 ‣ 사용자가 제스처를 완료할 때 무엇이 발생하는지에 대한 힌트 제공 ‣ 요소들 간의 계층 구조가 잡혀 있음 ‣ 배경에서 발생하는 일에 대해 방해받음 ‣ iOS에 비해 대범한 인터렉션 |
‣ 조심스럽게 애니메이션 사용 ‣ 사실적이고 신뢰할 수 있도록 애니메이션 사용 ‣ 주로 인지하지 못하나 배경에서 보여지는 미세한 차이 |
UI Controls (Android : Components / iOS : Controls) |
‣ 라디오 버튼 ‣ 체크 박스 ‣ 스위치 ‣ 플로팅 버튼 (안드로이드) ‣ 버튼 (안드로이드 : 48px, iOS : 44px) ‣ 액션 시트 / 바텀 시트 ‣ UI 아이템들 중 가장 대중적인 액션 ‣ 하단에서 보여짐 |
|
‣ 단색, 그림자로 표현 | ‣ 살짝 투명하고 그림자 없음 | |
텍스트 필드, 폼 | ‣ 드롭다운 ‣ 팝업 다이얼로그 |
‣ 새 페이지 ‣ 휠 액션 시트 |
Cards (예시. 인스타그램) |
‣ 그림자와 간격을 통해 카드를 표현 | ‣ 투명도와 겹침으로 카드를 표현 |
Segment Content | ‣ 디바이더로 구분 | ‣ 라인 버튼 2-4개의 탭으로 구분 |
Notification ‣ 사용자들의 시간이 가장 중요하다는 것 ‣ 유용한 알림이어야 하는 것 |
‣ 평평한 텍스트 위주의 버튼 스타일 | ‣ 디바이더로 여러 알림을 구분 |
3. 비주얼 디자인
1) 타이포그래피
Android | iOS | |
폰트 | Roboto | San Francisco |
‣ 충분한 여백을 사용함 ‣ 드라마틱한 폰트사이즈를 사용함 |
‣ 폰트 사이즈 보다는 폰트 굵기로 차이를 줌 |
2) DP & PX
- DP (dp) = Density independent pixels
- 물리적인 스크린 사이즈에 기반한 추상적인 단위
- PX (px) = Pixels
- Dots per inch (DPI) = 프린트에서 사용하는 점의 밀도를 측정한 것
- Pixels per inch (PPI) = 스크린의 픽셀을 측정한 것
- Windows 디폴트 값 : 96 PPI
- Mac 디폴트 값 : 72 PPI
- Points : 실제 스크린 사이즈에 기반하여 인치당 1/72
- Pixels : 실제 스크린의 필셀 사이즈
Android | iOS | |
픽셀의 밀도 | (DP x DPI)/160 | (Points x DPI)/163 |
3) 이미지
- 이미지는 브랜딩과도 연결
- 광고가 아닌 정보력을 가지고 있고 사용자를 즐겁게 해주는 것
- 맥락에 맞는 이미지를 사용하고 이미지로 이야기를 전달할 것
4) 아이콘
Android | iOS | |
아이콘 특징 | 두꺼운 라인 | 얇은 라인 |
5) 컬러
Android | iOS | |
컬러 사용의 특징 | ‣ 밝은 컬러위주의 팔레트 ‣ 높낮음을 표현하는 그림자 ‣ 둥근 모서리 보다는 각이 있는 도형 |
‣ 부드러운 컬러 팔레트 ‣ 화이트 혹은 중성의 그레이를 주로 사용 ‣ 선명한 컬러의 사용이 드묾 |
4. 마무리
- 기본적인 안드로이드와 iOS의 디자인 가이드에 따라 구성요소를 조합 후 컨셉에 맞게 디자인을 수정
- 그러나 안드로이드와 iOS의 룩앤필은 동일해야 함
- 각각의 플랫폼 사용자가 예상할만한 사용성을 제공하는 것이 중요
- Android Material Design : material.io/
Material Design
Build beautiful, usable products faster. Material Design is an adaptable system—backed by open-source code—that helps teams build high quality digital experiences.
material.io
- iOS Human Interface Design : developer.apple.com/design/human-interface-guidelines/ios/overview/themes/
Themes - iOS - Human Interface Guidelines - Apple Developer
iOS Design Themes As an app designer, you have the opportunity to deliver an extraordinary product that rises to the top of the App Store charts. To do so, you'll need to meet high expectations for quality and functionality. Three primary themes differenti
developer.apple.com
강의 출처 :
Designing iOS and Android Apps
By. Renata Phillippi @ LinkedIn Learning
www.linkedin.com/learning/designing-ios-and-android-apps/
'강의 > 온・오프라인 강의' 카테고리의 다른 글
[온라인] 실용적인 주간 UX : 시즌1 (0) | 2020.12.27 |
---|---|
[온라인] 크리에이티브한 사람들과 일하기 (0) | 2020.12.24 |
[온라인] 애자일 조직을 위한 UX 리서치 (0) | 2020.12.17 |
[온라인] UX 기초 : 스타일 가이드와 디자인 시스템 (0) | 2020.12.11 |
[온라인] 디자이너를 위한 브랜드 전략 (0) | 2020.10.25 |
- Total
- Today
- Yesterday
- 스타트업
- UX 법칙
- 스타트업살아남기
- 디자인
- 온라인
- 디자인씽킹
- UX법칙
- 스타트업에어서와휴먼
- UI
- Hick's Law
- 세미나
- 힉의 법칙
- 심리학
- UI/UX
- 디자이너
- 스타트업일지
- 서비스 디자인
- IT
- 스펙트럼콘
- 디자인적 사고
- Miller's Law
- UX
- 프로덕트디자이너
- UI디자인
- 사용자 중심
- UX Psychology
- 협업
- Fitt's Law
- UX/UI
- UX디자인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