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팀원들 중에서는 크게 공감자와 체계자로 나눌 수 있다. 다양한 사람들에 대해서 이해하고 어떻게 접근할지에 대해서 생각해 보는 것이 좋다.
공감자 | 체계자 |
다른 사람의 감정과 생각을 알려고 한다 사람들이 어떻게 느끼는지 직관적으로 파악한다 디테일함에 대해 느긋하다 언어를 빠르게 개발한다 사교성이 있고 대화를 잘한다 |
분석하고 탐색하고 시스템을 구조화하려고 한다 작업 방식에 대한 기본 규칙을 직관적으로 파악한다 채팅하는 것에 덜 관심 있어한다 덜 사교성이 있다 |
팀원들이 어떠한 성향을 갖고 있는지에 대해서 파악했다면, 그다음은 어떠한 것을 일을 할 팀인지 정의하고, 무엇을 할 사람들을 찾을 것인지에 대해서 생각해야 한다. 그 다음 미리 앞에서 이끌고 데이터 기반의 증거를 가지고 가치를 제공해야 한다. 또한, 어떻게 해야 하는지 전달만 하는 게 아닌 함께 앉아서 수정사항에 대해서 반영 결과를 함께 지켜보고 이야기를 하는 것이 좋다. 어떻게 해야하는지 전달만 하는게 아닌 함께 앉아서 수정사항에 대해서 반영 결과를 함께 지켜보고 이야기하는 것이 좋다.
해야 할 일을(=목표, 방향성) 정한 후, 세부적인 태스크를 만든 후, 그에 따른 필요 인원을 측정한다. 그다음 기한에 맞춰서 우선순위를 정하는데, 이때에는 해야할 것들 외에는 할 수 없으며, 해야 한다면 인원을 충원하던지, 기한을 연장하던지 등의 방안을 모색해야 한다.
사용자 경험에 성숙해지는 단계는 크게 8가지로 구성한다.
- 1단계 : 사용성에 대한 적대감
- 2단계 : 개발자 중심의 사용성
- 3단계 : 스컹크웍스 사용성 (스컹크웍스는 주로 빠른 개선을 위해 프로젝트를 연구하고 개발하는 비교적 작고 느슨한 그룹의 사람들에 의해 개발된 프로젝트를 의미한다)
- 4단계 : 사용성 예산에 전념
- 5단계 : 사용성 관리
- 6단계 : 사용성 프로세스 체계화
- 7단계 : 사용자 중심 디자인의 통합
- 8단계 : 사용자 주도 기업
한순간에 8단계로 갈 수 있는 회사는 없다. 빨리 가려고 할수록 빈틈이 많이 생겨날 것이고, 차근차근 미리 준비하여 꾸준히 레벨업을 해야 한다.
강의 출처 :
Making User Experience happen as a Team
By. Chris Nodder @ LinkedIn Learning
www.linkedin.com/learning/making-user-experience-happen-as-a-team
'강의 > 온・오프라인 강의' 카테고리의 다른 글
[온라인] 디자인적 사고를 통한 경쟁력 유지 - 2/2 (0) | 2020.12.29 |
---|---|
[온라인] 디자인적 사고를 통한 경쟁력 유지 - 1/2 (0) | 2020.12.28 |
[온라인] 실용적인 주간 UX : 시즌1 (0) | 2020.12.27 |
[온라인] 크리에이티브한 사람들과 일하기 (0) | 2020.12.24 |
[온라인] 애자일 조직을 위한 UX 리서치 (0) | 2020.12.17 |
- Total
- Today
- Yesterday
- 심리학
- 사용자 중심
- 스타트업
- UX
- UI
- 디자인씽킹
- 프로덕트디자이너
- IT
- 서비스 디자인
- 협업
- UI/UX
- 힉의 법칙
- Hick's Law
- 스펙트럼콘
- UX Psychology
- 스타트업살아남기
- UX 법칙
- UX디자인
- Miller's Law
- 스타트업일지
- Fitt's Law
- UI디자인
- UX/UI
- 온라인
- 스타트업에어서와휴먼
- 디자인적 사고
- 디자이너
- 디자인
- 세미나
- UX법칙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